경제분석/주식

IMF금융위기의 시작

L2R 2023. 5. 19. 08:12
728x90

한국의 IMF금융위기가 언급된 다른 블로그 글을 보고, 세계 금융은 하나의 고리로 연결되었구나 새삼 느끼고 기록을 위해 남겨둠.


*70년대후반 유가가 3불에서 12불로 오르고, 곡물가격까지 오르자 미국에서 인플레이션이 시작된다.
*미국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기준금리를 21%까지 올린다.
*미국에 경기침체가 왔지만 높은 금리탓에 외국의 자본이 엄청 유입되면서 강달러가 된다.
*미국보다 환율이 낮아진 일본은 싼 가격의  제품을 미국으로 수출하면서 대박을 터트린다.
*미국은 무역적자의 대부분이 일본에서 발생하게 되면서 일본을 압박하여 우리가 알고 있는 플라자합의가 이루어진다.
*플라자합의로 엔화가 2배 비싸지게 되고 당연히 일본제품도 2배 비싸지면서 일본은 수출에 어려움을 겪게 되고, 다음해인 86년부터 마이너스로 돌아선다.
*제품 수출이 어려워진 일본은 부동산과 내수경기를 살리면서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해외 투자를 확대한다.
*이 시기에 중국은 위안화 환율을 올리고 그만큼 저렴해진 물건으로 수출이 증가하며 성장을 시작한다.
*반대로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중국에 밀려 무역수지 적자가 확대되어 어려움을 겪고, 동남아시아에 투자했던 일본 은행들이 파산하기 시작한다.
*이에 일본 은행은 바젤I(바젤 협약에서 도입된 BIS비율)을 도입하게 된다. 참고로 한국은 2023년 4월부터 바젤III 적용함.
*일본 은행들은 바젤I 도입 후 BIS비율을 맞추기 의해 대출을 회수하기 시작한다.
*이에 동남아시아 뿐만 아니라 일본 은행 의존도가 높았던 한국도 대출연장이 안되어 어려움을 겪게 된다.
*당시 부채비율이 500% 이상이었던 한국 대기업들은 유동성 부족으로 무너지기 시작하며, 이것이 IMF 외환위기가 일어나는 원인 중 하나가 된다.


728x90